Home

Published

- 8 min read

세액공제 많이 받는 방법 | 연말정산 최적화 실전 팁

img of 세액공제 많이 받는 방법 | 연말정산 최적화 실전 팁

💸 세액공제 많이 받는 방법 | 연말정산 최적화 실전 팁

4월에 쓰기에는 참 애매한 타이밍이지만, 그래도 늦게 아는 것보다 나을 것 같아서 미리 작성을 해보고자 한다.

연말이 다가오면 누구나 걱정하는 게 하나 있다. 바로 연말정산.

“얼마를 돌려받을 수 있을까?”, “혹시 토해내야 하는 건 아닐까?” 하며 주변에서부터 벌써부터 전전긍긍하는 경우를 하도 많이 봤다.

따라서 이번 글에서는 내가 실제로 신경 써서 실천하고 있는 세액공제 많이 받는 방법을 정리해봤다.


❌ 0. 세액 공제를 가장 많이 받는 법 = 돈 안쓰기

아주 당연한 얘기다만, 애초에 돈을 안쓰면 세금을 떼일 일이 없다. 따라서 세액 공제를 가장 많이 받는 법은 소비하지 않는 것이다.

다만 자본주의 사회에서 현실적인 요건을 따져보면 가장 어려운 것임이 틀림없다(…)

🧾 1. 신용카드 25% 채우고, 체크카드로 넘어가기

연간 총급여의 25%까지는 신용카드든 체크카드든 아무거나 써도 상관없다.

하지만 25%를 초과하는 지출부터는 체크카드, 현금영수증 사용이 훨씬 유리하다.

구분소득공제율
신용카드 사용액15% 공제
체크카드/현금영수증 사용액30% 공제

Tip:

  • 연봉의 25%까지만 신용카드 긁고
  • 그 이후부터는 체크카드/현금영수증으로 전환하는 게 최적이다.

🎁 2. 기부금 세액공제 활용하기

기부금은 소득공제와 별도로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

구분세액공제율
1천만원 이하 기부금15% 세액공제
1천만원 초과 기부금30% 세액공제

주의할 점:

  • 반드시 국세청 등록된 기부단체여야 인정된다.
  • 기부금 영수증을 꼭 발급받아야 한다.
  • 종교 기부금, 종교 외 기부금이 있다. 종교 기부금은 해당 기관에 문의하면 영수증을 받을 수 있다.

Tip: 특히 연말정산 시즌 직전(11~12월)에 소액 기부를 추가하면 효과가 크다.


🏥 3. 의료비 공제 빠뜨리지 않기

의료비는 공제받을 수 있는 범위가 꽤 넓다.

공제 가능한 예시:

  • 병원 진료비
  • 약국 약값
  • 건강검진 비용(단, 이상 소견이 있을 때)

Tip:

  • 가족 의료비도 합산 가능
  • 건강보험으로 다 처리된 것 같아도, 개인부담액은 공제 대상

🏠 4. 주택자금 공제 챙기기

전세자금대출 이자나 주택청약 납입금도 공제 대상이다.

항목공제 가능 여부
전세자금 대출 이자공제 가능
주택청약종합저축 납입액공제 가능 (연간 한도 있음)

Tip:

  • 본인 명의 대출만 가능하며, 세대주 여부에 따라 공제 조건이 달라질 수 있다.
  • 주택청약종합저축 같은 경우에는 각 은행별로 신청 방법이 상이하니 꼭 확인해보자. 보통은 모바일 앱으로 편하게 신청할 수 있다.

🚗 5. 대중교통, 전통시장 사용액 추가 공제

신용카드/체크카드 외에도 대중교통 이용, 전통시장 이용에 대해서는 추가로 공제율이 높다.

항목소득공제율
대중교통 이용액40% 공제
전통시장 이용액40% 공제

Tip: 지하철, 버스 이용금액은 따로 집계되니 꼭 카드로 결제하자.

💼 6. 연금저축·IRP로 추가 세액공제 받기

연금저축이나 IRP(개인형퇴직연금)에 가입해 납입하면 추가로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

2024년부터 세액공제 한도가 크게 늘었기 때문에 잘만 활용하면 연말정산 환급액을 크게 키울 수 있다.

항목연간 공제 한도세액공제율
연금저축600만원12~15%
IRP (추가납입)300만원12~15%
합산 총 한도900만원

세액공제율은?

  • 총급여 5,500만원 이하 → 15% 세액공제
  • 총급여 5,500만원 초과 → 12% 세액공제

예시로 보면

  • 연금저축에 600만원 납입하면 → 15% = 90만원 세액공제
  • IRP에 300만원 추가 납입하면 → 15% = 45만원 세액공제

👉 둘 합치면 총 135만원 세금 감면 가능.


주의할 점

  • 연금저축과 IRP 합산해서 900만원까지만 세액공제 받을 수 있다.
  • 납입금액이 많다고 무제한 공제되는 건 아니다.
  • 연금저축/IRP 모두 55세 이후에 연금으로 수령해야 하며, 중도해지 시 페널티(추징)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지금까지 공제받은 세금을 다 뱉어내야 하니 신중히 가입하도록 하자.

Tip: 여유 자금이 있다면, 연말 직전 연금저축이나 IRP 추가 납입으로 한 번에 세액공제 효과를 키울 수도 있다.

세금은 쓰는 돈을 잘 관리하는 사람에게 돌아온다.


✨ 마무리: 계획적으로 써야 돈을 돌려받는다

세액공제는 아무렇게나 써서 되는 게 아니다.

  • 신용카드/체크카드 사용순서
  • 기부금, 의료비, 주택자금 활용
  • 대중교통/전통시장 이용
  • 연금저축·IRP

이런 것들을 미리 알고 실천하면 연말정산 시즌에 훨씬 덜 스트레스받고 오히려 환급까지 노릴 수 있다.

언젠가 모두 세금 적게 내고 같이 광명찾길 바라는 마음으로 글을 마쳐본다 ㅎㅎ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