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Published

- 5 min read

서치엔진 등록 후 꼭 해야 할 추가 세팅 | 사이트맵 제출, 색인 요청, 오류 관리까지

img of 서치엔진 등록 후 꼭 해야 할 추가 세팅 | 사이트맵 제출, 색인 요청, 오류 관리까지

🛠️ 서치엔진 등록 후 꼭 해야 할 추가 세팅

사이트를 구글, Bing, 네이버 같은 검색엔진에 등록했다면, 그다음이 진짜 시작이다.

단순히 등록만 한다고 검색에 잘 노출되는 건 아니다.
등록 이후 어떤 설정을 추가로 하느냐에 따라 검색 유입량과 사이트 성장 속도가 완전히 달라진다.


📑 1. 사이트맵 제출하기

사이트맵(Sitemap)은 내 사이트의 전체 구조를 검색엔진에 알려주는 기본 자료다.

사이트맵 제출을 해야 하는 이유:

  • 새로운 글, 페이지가 생겼을 때 빠르게 색인된다.
  • 사이트 전체 구조를 검색엔진이 한 번에 파악할 수 있다.
  • 크롤링 누락을 줄일 수 있다.

각 서치엔진 제출 방법:

  • 구글: 서치콘솔 > Sitemaps 메뉴
  • Bing: Webmaster Tools > Submit Sitemap
  • 네이버: Search Advisor > 웹페이지 수집 > 사이트맵 제출

: Astro, Next.js, Hugo 같은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사이트를 직접 만드는 경우, sitemap.xml을 자동으로 만들 수 있으니 꼭 활용하자.


🔎 2. 중요한 페이지는 색인 요청하기

색인은 검색엔진이 내 페이지를 검색 결과에 포함시키는 과정이다.

대부분 자연 크롤링을 기다리면 색인이 되긴 하지만, 중요한 글이나 수정한 글은 직접 색인 요청하는 것이 훨씬 빠르다.

  • 구글: 서치콘솔 상단 검색창 → URL 입력 → 색인 요청
  • Bing: Webmaster Tools → URL Submission
  • 네이버: Search Advisor → 웹페이지 수집 요청

: 하루 1~2개 정도 수동 색인 요청은 괜찮다. 단, 무분별하게 요청하면 크롤링 제한 걸릴 수 있다.


🚨 3. 오류 모니터링은 필수

검색엔진은 사이트 문제를 꽤 민감하게 본다.

주요 체크할 오류:

오류 유형설명
크롤링 오류로봇이 페이지를 읽지 못함
모바일 사용성 문제모바일 환경에서 UI 문제가 발생함
보안 이슈해킹, 악성 스크립트 탐지

구글, Bing 모두 이런 오류를 알려주는 기능이 있다. 문제가 발견되면 바로 수정하고 “해결 요청”을 해야 한다.

: 사이트 품질 이슈를 오래 방치하면 검색 순위가 내려간다. 빠른 대응이 답이다.


📈 4. 퍼포먼스 데이터 분석하기

등록이 완료된 후 일정 기간이 지나면, 검색 유입 데이터가 쌓이기 시작한다.

체크해야 할 주요 지표:

항목설명
검색어(쿼리)사람들이 어떤 키워드로 내 사이트를 찾는지
노출수내 사이트가 몇 번 검색 결과에 나왔는지
클릭수몇 번 클릭되었는지
평균 위치검색 결과에서 평균 몇 번째에 위치하는지

구글 서치콘솔, Bing Webmaster Tools 모두 기본 퍼포먼스 리포트를 제공한다.

  • 클릭이 적은 페이지는 제목/메타디스크립션 수정
  • 노출이 많은 키워드는 추가 콘텐츠 제작

이런 식으로 데이터 기반 운영을 하면 사이트 성장 속도가 빨라진다.


✨ 마무리: 등록은 시작일 뿐, 관리는 선택이 아니다

서치엔진 등록은 그저 입구를 통과한 것일 뿐이다.

그 이후로

  • 사이트맵 제출
  • 수동 색인 요청
  • 오류 모니터링
  • 퍼포먼스 데이터 분석

이걸 얼마나 성실하게 관리하느냐가 검색 유입을 터뜨릴 수 있는 핵심 열쇠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