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shed
- 6 min read
AI가 사주를 본다고? ChatGPT 사주 테스트 해봤다

🔮 AI가 사주를 본다고? ChatGPT 사주 테스트 해봤다
요즘 SNS나 블로그를 보면 “ChatGPT에 생년월일 넣으면 사주 봐준다”는 말이 심심치 않게 보인다.
실제로 회사 동료도 ChatGPT로 사주를 봤는데, 잘 봐준다고 하더라.
과연 내 사주도 잘 맞출지, 한 번 테스트를 해봤다.
🗓️ 사주를 AI한테 던져봤다
ChatGPT에게 아래와 같이 요청해봤다
ㅇㅇㅇㅇ년 ㅇㅇ월 ㅇㅇ일 오전 ㅇㅇ시 ㅇㅇ분 ㅇㅇ에서 태어났는데 사주봐봐
그리고 돌아온 답변은 다음과 같았다.

짧게 작성해보자면, 완전 엉망진창이다.
내 생일은 음력 설날 직전에 있는데, 사주는 음력 기준으로 분석하기 때문에 다른사람들과 다르게 나는 이전 년도를 사용해야 한다. 하지만 이미 양력 기준으로 계산했기 때문에 얘는 바보라는게 증명되었다.
양력으로 계산됐기 때문에 년, 월, 일이 틀린 것을 이해했으나, 시간까지 전부 다 틀려서 다른 의미로 놀라웠다. 시간은 고정인데 어떻게 틀릴 수 있지 ㅎㅎㅎㅎ
참고로 GPT의 가장 최신 AI 모델을 사용했으며, 유료 버전을 사용 중이다. 즉 가장 성능 좋은 모델을 사용했는데도 전부 틀렸단 얘기다.
그래도 인공지능이니 지적해주면 고칠 것이라 기대하고 몇 번의 재시도를 했으며, 전혀 말을 안들어 내가 직접 사주팔자 내역을 적어줬다. 그제서야 겨우 제대로 인식할 수 있었다.
📣 누군가는 잘 맞는다고 하는데…
인터넷에 업로드 된 어느 글들을 살펴보면, “정말 잘 맞는다”라는 얘기가 적혀있음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건 ChatGPT가 실제 명리학을 ‘계산’하는 건 아니라는 점이다.
- ChatGPT는 단순히 기존 텍스트를 조합하는 생성형 언어 모델일 뿐
- 사주팔자의 ‘음력 → 간지 변환’, ‘천간지지 조합’, ‘대운/세운’ 등의 복잡한 계산 로직을 정확히 구현하진 못한다
- 즉, 명리학 문서에서 자주 나오는 문장을 조합해서 말해줄 뿐이다
어디까지나 “그럴듯하게 들리는 말”이지, 진짜 사주 분석이라고 보긴 어렵다.
애초에 내 사주 계산부터 틀린 것을 보면 그저 할많하않~
⚠️ 사주를 AI에게 맡길 때의 주의사항
1. 운세/사주는 ‘데이터 기반 조합’일 뿐이다
생성형 AI는 논리보단 확률로 동작한다. 즉, 진짜로 미래를 보는 게 아니라, 그럴듯한 말을 잘 지어내는 능력일 뿐이다.
2. 인생 결정을 맡기지 말 것
AI가 아무리 똑똑해도 “이직해야 할까요?” “결혼 언제 해야 하죠?” 같은 질문에 대한 정답은 줄 수 없다. 결정은 결국 자기 책임이다.
3. 개인정보 입력 주의
생년월일, 출생지 등 민감한 정보를 아무 필터 없이 AI에 넘기는 건 위험할 수 있다. 공식 서비스가 아닌 이상, API 서버에 로그로 남을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GPT에다가 이런 민감성 데이터를 넣을 경우, “임시모드”를 사용할 것을 추천한다. 데이터가 저장되지 않기 때문이다.
💬 결론: 재미로 보는 건 OK, 맹신은 금물
사실 AI로 사주를 본다는 건 “AI와 떠드는 재미” 이상의 의미는 없다. 진짜 운명을 예측하는 건 불가능하다.
재미로 즐기되, 진지하게 의존하지 말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