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Published

- 6 min read

자주 사용하는 개인사업자 업종코드 정리 | 프리랜서 개발자 가이드

img of 자주 사용하는 개인사업자 업종코드 정리 | 프리랜서 개발자 가이드

자주 사용하는 개인사업자 업종코드 정리 feat. 개발자 💼

아직 정확히 어떤 부업을 집중할지 정하지는 않았지만, 미리 알아두면 도움이 될 것 같아 프리랜서 개발자 및 콘텐츠 크리에이터에게 유용한 업종코드를 정리해 보았다.

📌 모든 업종코드를 다 등록할 필요는 없음!

  • 자신의 주요 업무에 맞는 주업종 1개를 등록하고, 필요하면 추가업종을 선택하면 된다.
  • 불필요한 업종코드를 추가하면 매출이 일정 수준을 넘지 않아도 간이과세자에서 일반과세자로 전환될 위험이 있음!

📌 내가 선택한 업종코드 예시

  • 940909 (소프트웨어프리랜서) → 개발 멘토링, 외주 개발
  • 940306 (1인미디어콘텐츠창작자) → 애드센스, 유튜브 수익

1. 프리랜서 개발자 업종코드 💻

📌 기본적으로 면세사업자이며, 부가가치세는 면제됨. 단, 사업장 현황 신고는 필수!

🚨 주의: 업종코드가 7로 시작하는 경우, 간이과세 배제 업종이므로 일반과세자로 전환될 수 있음.

업종코드업태명업종명상세설명
722000정보통신업응용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유료 앱 개발, 외주 개발
722005정보통신업컴퓨터 프로그래밍 서비스업소프트웨어 개발 및 유지보수
724000정보통신업데이터베이스 및 온라인 정보 제공업직접 웹사이트 운영 및 서비스 제공
743002정보통신업광고대행업블로그, 웹사이트, 앱 광고 (애드센스, 애드몹, 애드핏 등)
722002정보통신업모바일 게임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모바일 게임 개발
722003정보통신업기타 게임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콘솔, PC, 패키지 게임 개발
940909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서비스업소프트웨어프리랜서프리랜서 개발자

2. 통신판매업 (스마트스토어, SNS 마켓, 해외 직구 대행 등) 🛒

📌 통신판매업 신고 기준

  • 6개월 기준 매출 1,200만 원 이상 또는
  • 당해 연도 매출 4,400만 원 이상 / 전년도 누적 매출 4,800만 원 이상

🚨 이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다면, 신고 없이 운영 가능!

업종코드업태명업종명상세설명
525101통신판매업전자상거래 소매업스마트스토어, 오픈마켓
525102통신판매업기타 통신판매업전화, 우편, TV 홈쇼핑
525103통신판매업전자상거래 소매 중개업온라인 판매 중개 (쿠팡파트너스 등)
525104통신판매업SNS 마켓블로그, 인스타, 페이스북 마켓
525105통신판매업해외 직구 대행업해외 직구 대행 서비스

3. 1인 미디어 콘텐츠 창작자 (유튜버, BJ, 크리에이터) 🎥

📌 개인 운영 vs 팀 운영에 따라 업종코드가 달라짐!

  • 혼자서 모든 작업을 하면940306
  • 직원을 두거나 사무실이 있으면921505
업종코드업태명업종명상세설명
921505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서비스업미디어콘텐츠창작유튜버, BJ, 크리에이터 (사무실 운영 시)
940306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서비스업1인미디어콘텐츠창작자혼자서 유튜브, 블로그 운영 (면세사업자)

📌 애드센스 등의 광고 수익을 받을 경우 940306이 절세에 유리!


4. 업종코드 선택 시 유의할 점 ⚠️

매출 규모 고려하기

  • 주업종을 신중히 선택하여 불필요한 업종 추가를 피해야 함
  • 매출이 8천만 원 이하인데도 일반과세자로 전환되지 않도록 조심!

면세/과세 여부 확인

  • 940306(1인미디어콘텐츠창작자) → 면세사업자 (유리!)
  • 921505(미디어콘텐츠창작) → 과세사업자 (세금 증가 가능)

업종코드는 추후 변경 가능!

  • 처음 사업자 등록할 때 너무 많은 업종을 추가할 필요 없음
  • 필요하면 홈택스에서 추가/삭제 가능

자신의 상황에 맞는 업종코드를 선택하여 세금 부담을 최소화하고, 효율적인 부업 운영을 하자! 🚀


댓글